제1조(투고 자격)
제2조(논문의 내용)
제3조(원고 제출)
제4조(논문 체제)
제5조(증명)
제6조(제한)
제7조(교정)
제8조(증정본)
제9조(논문의 길이)
제10조(심사비, 게재료)
제11조(저작권)
제12조(논문 작성 요령)
부분 | 글자체 | 글자 크기 | 줄 간격 | 들여 쓰기 | 정렬 방식 | 기타 | |
---|---|---|---|---|---|---|---|
논문 제목 | KoPub바탕체 Light 진 | 13 | 160% | 하지 않음 | 가운데 정렬 | KoPub바탕체 글꼴 시 영문은 Times New Roman 장평 100% 자간 -3 |
|
장 제목 I. | KoPub돋움체 Bold | 11 | 160% | 하지 않음 (위, 아래 한줄 띄어쓰기) |
촤측 정렬 | ||
절 제목 1. | KoPub돋움체 Bold | 10 | 160% | 하지 않음 (위, 아래 한줄 띄어쓰기) |
촤측 정렬 | ||
소 제목 1) | KoPub바탕체 Light 진 | 9 | 160% | 2자 (위, 아래 한줄 띄어쓰기) |
촤측 정렬 | ||
세부 제목 (1) | KoPub바탕체 Light | 10 | 160% | 2자 (위, 아래 한줄 띄어쓰기) |
촤측 정렬 | ||
미세 제목 ① | KoPub바탕체 Light | 10 | 160% | 2자 (위 한줄 띄어쓰기) |
촤측 정렬 | ||
본문 | KoPub바탕체 Light | 10 | 160% | 2자 | 양쪽 정렬 | ||
예문 | KoPub바탕체 Light | 10 | 160% | 좌우여백 2자 | 양쪽 정렬 | ||
참고문헌 | 제목 | KoPub돋움체 Bold | 11 | 160% | 하지 않음 (위 두줄, 아래 한줄 띄어쓰기) |
가운데 정렬 | |
내용 | KoPub바탕체 Light | 10 | 160% | 5자(내여 쓰기) | 양쪽 정렬 | ||
표/그림 | 제목 | KoPub바탕체 Light 진 | 9 | 130% | 하지 않음 (위 한줄 띄어쓰기) |
가운데 정렬 | |
내용 | KoPub바탕체 Light | 9 | 130% | 하지 않음 | 가운데 정렬 | ||
각주 | KoPub바탕체 Light | 9 | 130% | 하지 않음 | 양쪽 정렬 | ||
초록 | 제목 | KoPub바탕체 Light 진 | 9 | 130% | 좌우여백 5자 | 양쪽 정렬 | |
내용 | KoPub바탕체 Light | 9 | 130% | 좌우여백 5자 | 양쪽 정렬 | ||
Key words 저자 정보 |
KoPub바탕체 Light (예시언어, 키워드, 이름과 직위만 진하게) |
9 | 160% | 하지 않음 | 양쪽 정렬 |
[별첨 1] 한국 중등영어교육학회 학회지 중요 양식 안내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의 학회지인 중등영어교육(Secondary English Education)은 기본적으로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APA)의 논문 양식을 따른다. 다음은 논문에서 사용되는 주요 양식에 대한 안내이다. 다음에 언급되지 않은 구체적인 양식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th edition)을 참고한다.
1) 직접 인용
According to Nam (2023), “Students often had difficulty using APA style, especially when it was their first time” (p. 199).
She stated, “Students often had difficulty using APA style” (Nam, 2023, p. 199).
Nam’s (2023) study found the following:
Students often had difficulty using APA style, especially when it was their first time citing sources. This difficulty could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any students failed to purchase a style manual or to ask their teacher for help. (p. 199)
☞ 다른 저자의 말을 직접 인용할 경우 인용문은 “ ” 안에 넣고, 인용문이 끝나도 마침표는 괄호(참고 문헌의 정보) 다음에 찍는다. 괄호 안에는 저자와 연도, 쪽수를 쉼표로 분리하여 표기하고, p.(한 쪽인 경우) 혹은 pp.(두 쪽 이상인 경우) 뒤에 한 칸을 띄고 쪽 수를 쓴다. 한편, 직접 인용하는 말이 3줄 이상 긴 경우 단락을 달리하여 인용하는데, 이 경우 “ ”를 사용하지 않고 왼쪽 및 오른쪽을 각각 5글자씩 들여쓰기를 한다.
2) 간접 인용
According to Nam (2023), APA style is a difficult citation format for first-time learners.
APA style is a difficult citation format for first-time learners (Nam, 2023, p. 199).
☞ 다른 저자의 말을 간접적으로 인용할 경우,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고, 괄호 안에 연도, 혹은 저자와 연도, 쪽수를 표기한 후 문장의 마침표를 찍는다.
3) 복수 저자의 표기
Research by Jung and Wharton (2012) showed...
(Jung & Wharton, 2012)
(Kernis, Cornell, Sun, Berry, & Harlow, 2023)
(Kwon et al., 2018)
☞ 저자가 3명에서 5명인 경우의 간접 인용은 본문 속에서는 and로, 괄호 안에서는 &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단, 앞에서 이미 언급된 저자들인 경우 et al.을 사용하여 간단히 표기한다. et al.의 경우 et 다음에는 마침표를 찍지 않는 점에 유의한다.
Jung et al. (2023) argued...
(Jung et al., 2023)
☞ 저자가 6명 이상인 경우의 간접 인용은 처음 언급할 때부터 et al.로 표기하고, 참고 문헌에서 이름을 모두 표기한다.
4) 여러 저자를 괄호 안에 소개
(Jung, 2022; Nam, 2023)
(Jung, 2012, 2014, 2023)
☞ 2명 이상의 저자를 괄호 안에서 소개할 경우, 연도순이 아닌 저자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열하고, 세미콜론(;)으로 분리한다. 동일 저자가 쓴 논문을 여러 개 소개할 때는 연도순으로 배열하고, 쉼표로 분리한다.
5) 성이 같은 저자들 소개
B. Jung (2001) and C. Jung (1998) suggested that ...
(B. Johnson, 2001; C. Jung, 1998)
☞ 성이 같고 이름이 다른 저자를 괄호 안에서 소개할 경우, 이름의 약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6) 재인용
Jung argued that... (as cited in Kwon, 2003, p. 102).
☞ 자신이 직접 읽지 않은 논문이나 책의 저자를 재인용할 경우에는 괄호 안에 as cited in 저자 이름, 연도, 쪽수의 순으로 표기한다.
참고문헌에는 논문에서 언급된 것만을 빠짐없이 저자 성의 알파벳순으로 싣는다. 한글로 논문을 작성한 경우, 한글 문헌을 먼저 가나다순으로 나열하고, 영어 문헌을 알파벳순으로 싣는다. 한국어의 참고문헌 표기는 영어와 동일하다. 단, 논문 제목이나 저자, 책 제목이 한글인 참고문헌을 영문으로 표기하고자 할 경우, 한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 ] 안에 영어 번역을 넣는다. 참고문헌은 전체적으로 두 번째 줄에서 다섯 자 들여쓰기한다.
1) 저자 수에 따른 기본 원칙
Jung, C. K. (2014). What and when should children be taught about the links between morphemes and spelling? Second English Education, 7(1), 3-13.
☞ 저자의 성을 먼저 쓰고, 이름은 이니셜만 표기한다.
O’Donoghue, J., & Jung, C. K. (2013). Corpus pedagogy: Analyzing corpus use in the classroom and EFL business student attitudes towards corpora. English Language Teaching, 25(3), 51-74.
☞ 저자가 두 명인 경우 이름 이니셜에 마침표를 찍고 다음에 쉼표를 찍은 후 &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Kernis, M. H., Cornell, D. P., Sun, C. R., Berry, A., & Harlow, T. (1993). There’s more to self-esteem than whether it is high or low: The importance of stability of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1190-1204.
☞ 저자가 3명에서 6명인 경우 각 저자들 사이는 쉼표를 찍어 구분하고 마지막 저자의 앞에만 & 표시를 한다.
Harris, M., Karper, E., Stacks, G., Hoffman, D., DeNiro, R., Cruz, P., et al. (2001). Writing labs and the Hollywood connection. Journal of Film and Writing, 44(3), 213-245.
☞ 저자가 7명 이상인 경우 6명까지만 표기를 하고, 나머지는 & 표시 없이 et al.로 표기를 한다.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
☞ 저자가 기관이나 단체인 경우는 기관명이나 단체명을 표기하면 된다.
2) 학술지(Journal)의 논문
Berndt, T. J. (1981a). Age changes and changes over time in prosocial intentions and behavior between friends. Developmental Psychology, 17, 408-416.
Berndt, T. J. (1981b). Effects of friendship on prosocial intentions and behavior. Child Development, 52, 636-643.
Harlow, H. F. (1983). Fundamentals for preparing psychology journal articles. Journal of Comparative and Physiological Psychology, 55, 893-896.
Scruton, R. (1996). The eclipse of listening. The New Criterion, 15(30), 5-13.
3) 잡지(Magazine)에 실린 글
Henry, W. A., III. (1990, April 9). Making the grade in today’s schools. Time, 135, 28-31.
☞ 학술지의 표기와 동일하되, 저자 다음의 괄호 안에 연도와 함께 출판월과 일을 표시해 준다.
4) 신문(Newspaper) 기사
Schultz, S. (2005, December 28). Calls made to strengthen state energy policies. The Country Today, pp. 1A, 2A.
☞ 잡지와 마찬가지로 글쓴이 다음에 신문의 연도와 월, 일을 표기하고, 신문명 다음에 기사의 페이지를 표기해 준다.
5) 편집된 책
Duncan, G. J., & Brooks-Gunn, J. (Eds.). (1997). Consequences of growing up poor.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 편집된 책 전체를 표기할 경우, 저자 수에 따라 (Ed.) 혹은 (Eds.)를 연도 앞에 넣어 주고, 편집된 책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제시한다.
6) 편집된 책에 실린 논문이나 장
O’Neil, J. M., & Egan, J. (1992). Men’s and women’s gender role journeys: Metaphor for healing, transition, and transformation. In B. R. Wainrib (Ed.), Gender issues across the life cycle (pp. 107-123). New York: Springer.
☞ 편집된 책의 표시는 In 다음에 이름의 이니셜을 먼저 쓰고 쉼표 없이 성을 쓴 후, (Ed.) 혹은 (Eds.)와 쉼표, 그리고 이탤릭체로 책의 제목을 표시한다. 이 경우 책 제목 다음의 괄호 안에 책에 실린 논문이나 장의 쪽수를 pp.를 이용하여 표기해준다.
7) 학술대회 프로시딩즈에 수록된 논문 혹은 학술대회 발표 논문
Schnase, J.L., & Cunnius, E.L. (Eds.). (1995). Proceedings from CSCL ’95: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 for Collaborative Learning. Mahwah, NJ: Erlbaum.
Kanagy, R. (1998). The effects of grammar instruction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passives. Proceedings of the 7th Second Language Research Forum, 156-189.
Mitchell, R. (1995). The promise of performance assessment: How to use blacklash constructivel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 학술대회 프로시딩즈를 이탤릭체로 표기하고, 프로시딩즈가 없는 논문 발표인 경우 발표 논문의 제목을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8) 인터넷 자료
Author, A. A., & Author, B. B. (Date of publication). Title of article. Title of Online Periodical, volume number(issue number if available). Retrieved month day, year, from http://www.someaddress.com/full/url/.
Bernstein, M. (2002). 10 tips on writing the living Web. A List Apart: For People Who Make Websites, 149. Retrieved May 2, 2006, from http://www.alistapart.com/ articles/writeliving.
☞ 온라인 저널의 제목을 이탤릭체로 표기하며, Retrieved 다음에 월일, 연도를 표기하고 from 이후에 웹사이트 주소를 표기한다.
9) 석, 박사 학위 논문
Bush, J. (1991). Student, teacher, and administrator attitudes toward computer-mediated instruction in predominantly native American high schools in Arizon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ern Arizona University, Arizona.
Bellanger, S. (1986). Computer usage and perception amongst nurse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dinburgh, Edinburgh.
☞ 논문 제목은 이탤릭체로 쓰며,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혹은 Unpublished master’s thesis 다음에 대학명과 지역을 표기한다. 한국어 논문인 경우 “미출간 박사학위논문, 국립인천대학교, 인천.”과 같이 표기한다.